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건강과 식생활

<천연계신비> 천년의 치료법을 알고 있는 동물들의 비밀....


이제 산야초의 효용과 가치를 배워가노라면 비로소 길가에 지천으로 자라는 흔한 풀 한포기 한포기가 은혜로운

것이며 인간의 생명을 구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산야의 풀들은 인간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동물들도 병이 생기면 산 속의 풀들을 뜯어먹고 스스로의 생명을 구한 사례가 많이 알려지고 있다.

근년의 일이다. 전남의 한 농부는 유기농법을 고집하면서 들일을 끝낸 해거름에 날마다 싱싱한 야생풀을 베어다가

소에게 여물로 먹이곤 했다.

그러던 중 온 마을에 소병이 돌았다.

생장촉진제와 항생제가 버무려진 배합사료를 먹여 키운 소들은 병이 열흘 가네 보름 가네 야단이었지만 야생풀을

먹인 그의 소만은 병들지 않고 건강했다.

또한 동물원의 우리 안에 갇힌 야생동물은 답답한 생활 탓에 병이 들곤 한다.

이 병든 야생동물에게 각종 신약을 투여해도 신통한 효험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 산야에 자생하는 각종 풀과 열매를 체취해 울 안에 넣어준다. 그러면 동물은 그 식물들을 씹어도 보고 냄새도 맡아 보면서 어떤 특정한 먹이를 선별해

섭취한다. 이것이 약효를 나타내어 저절로 병이 치유된다고 한다.

뱀의 주둥이에 담배진을 묻히면 뻣뻣하게 실신해버리는데, 이때 복숭아가지 잎으로 쓸어주면 다시 꿈틀거리며 생기를 얻는다. 그래서 담배진으로 뱀을 중독시켰다가 복숭아가지 잎으로 쓸어주곤 하는 장난이 옛날에 기발한 재밋거리였다. 담배진에 실신했던 뱀이 어찌하여 복숭아 잎가지 덕택에 살아나곤 하는가? 이 때문인지 담배를 많이 피우는 사람은 복숭아를 많이 먹으면 담배의 해독이 어느정도 감소된다는 설이 있다.

이런 기록도 있다. 구렁이가 새끼족제비를 잡아먹는 광경을 우연히 목격하고 돌멩이를 던져 쫓아냈다. 새끼족제비는 죽은 듯이 까무러쳐 있었다. 잠시 후 엄미족제비가 나타나 제 새끼의 실신한 모습을 둘러보고는 어디론지 사라졌다가 은행잎을 물고 와서 새끼의 몸에 덮어주었다. 얼마 후 그 새끼는 움직이기 시작했고 어미는 새끼를 물고 사라졌다.

고양이가 소화불량에 걸리면 괭이밥을 뜯어 먹는다.

강아지를 데리고 야외로 나가보면 각종 풀잎 냄새를 맡아보면서 이것 저것 뜯어먹는데 아마도 위장과 소화에 좋은

풀들인 것 같다.


고양이과 개들은 변질,오염된 음식을 먹었을 때 그 해독을 위해 각종 녹색 풀을 뜯어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야생동물들도 몸이 불편하면 약이 되는 특정 식물을 씹어먹고 몸에 바르기도 하여 치료를 한다고 한다.

침팬지와 원숭이들은 상처를 입어 피가 흐르면 지혈성이 있는 나뭇잎을 상처에 발라 지혈시킨다.

또한 침팬지는 이상한 풀을 통째로 삼키곤 하는데 이는 아마도 몸속의 기생충을 없애려는 것 같다는 것이다.

인디언들은 동물이 다치거나 질병에 걸렸을 때 어떤 식물을 골라 잡는지를 지켜보고 의약을 기본을 배웠다고 한다.

인간은 동물들에게서 배운 치유법을 사용해봄으로써 여러 세기에 걸쳐 서서히 치료약의 품목을 늘려갔다.

동물들은 인간에 비해 자연에 조율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그리고 자신들에게 유익한 것에 대해서는 잘 반응하고 해로운 것은 피한다.

과학자들은 동물들이 유익하게 씹는 식물을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오늘날 아마존 강 유역이나 다른 열대지방의 원시림을 탐험하며 새로운 의약품으로 개발할 만한 식물을 발견하는데 열성을 바치고 있는 것이다.

동물들은 약도 되고 음식도 되는 식물을 본능적으로 알고 있다.

우리는 수많은 산야초들이 동물들의 식량자원이면서 약이 되는 동시에 인간에게도 매우 유익한 보배의 구실을 다한다는 점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지구상의 숲속은 모두 자연의 약전이 되는 셈이며 단지 그 비밀에 대한 우리의 지식이 미약하다는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벌에 쏘인 거미는 영아주 잎에 자꾸 비벼대어 통증을 해소시킨다.

꿩은 날개나 다리를 다쳤을 때 주둥이로 늙은 소나무의 송진을 쪼아 상처에 문지른다.

사냥꾼의 총에 설맞아 부상당한 꿩이 거뜬히 치유되어 다시 훨훨 날아다닌 것을 봤다는 포수들의 이야기가 꽤 전해지고 있다. 송진에는 살충, 살균 작용을 통증을 해소시켜 상처를 보호해서 새살을 돋아나게 하는 신비한 성분이 있기

때문이다.

구렁이가 산불로 화상을 입으면 소루쟁이의 싱싱한 잎에 몸을 서리에 걸침으로써 회복을 도모하고, 독사한테 물린 동물은 쥐방울 덩굴을 뜯어먹어 해독한다는 기록도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동물들의 자가치유능력은 아마도 동물 스스로의 어떤 영감에서 오는 자기방어의 수단일 것이다.

울타리 안에 가두어 키우는 가축이 설사 같은 내과적인 질환이 생겼을 경우 드넓은 풀밭에 풀어놓아 나름대로 직성에 맞는 풀들을 듬뿍 뜯어 먹게 하면 그 병증세가 사라진다는 것은 두루 알려져 있다.

좁은 장소에 가두어 키우던 사슴이나 노루를 수풀로 내보내 방목해 버리면 병도 잘 안 생기고 썩 건강하게 자란다는 것도 잘 영여진 사실이다.

염소를 수풀에서 자유롭게 뛰어 놀도록 내버려두면 자양강장이 아주 좋아진다는 것은 입맛에 맞는 온갖 풀을 뜯어

먹는 중에 수많은 천연산물의 기운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독사에 물린 한 염소는 고통 속에서도 온갖 풀을 뜯어 먹으며 쏘다닌 덕에 몸이 나았다는 이야기도 있다.

숲속에서 제멋대로 사는 염소들은 왕벌에 쏘였다고 해서 사람처럼 누워버리거나 엄살을 떨지 않는다.

봄이오면 참새 산새들이 노루귀나 처녀치마 등 일찍 피는 꽃잎을 쪼아 먹어 꽃식물을 망쳐놓는다.

또 정유성분이 짙어서 맛이 없는 석창포 잎을 갈갈이 쪼아 먹는다.

여하튼 초봄이 되면 새들은 이것 저것 가릴 여유 없이 새로 자라는 식물의 순을 열심히 뜯어 먹는다.

이것은 겨우내 풀잎을 섭취하지 못해 균형이 깨어진 허약한 몸을 회복하려는 노력으로 보인다.

참새 산새들의 활동을 관찰해보면 봄뿐만 아니라 여름과 가을에도 식물섭취에 열성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늦가을의 썰렁한 날씨에는 더 열심히 잎과 열매를 음식으로 삼는 것 같다.

이것은 사람 역시 식물체의 섭취가 불량해지면 질병의 휘험이 따른다는 것과 똑같은 이치이다.

하찮게 여겨지는 새들도 결국 1년 내내 식물체의 섭취가 긴요하다는 것이 오랜 관찰에서 확인되고 있다.

사람들은 동물들의 자연스런 섭생을 도외시하고 있다는 점에 입각해 자연과 문명과의 불협화음을 몇 번쯤 숙고해보지 않으면 안 된다. 어떤 사람이 알을 낳지 못하는 늙은 닭 2천마리를 사다가 넓은 야산에 1개월쯤 풀어놨더니 풀을 뜯고 벌레를 먹고나서는 다시 달걀을 낳기 시작했고 그 닭고기의 맛은 기름기가 없어 매우 훌륭했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식물체에는 온갖 질환의 치유와 건강 증진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미지의 성분들이 듬뿍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이 미지의 세계를 우리는 과학적으로 한가닥씩 풀어 가려는 노력을 꾸준히 하고 있다.

하지만 그 미지의 물질을 모두 해명하기엔 아직 요원하다.

자연의 숲속에는 우리가 찾아야 할 보배가 가득 쌓여 있는데, 우리의 지혜는 그것을 알아내기에는 너무 짧다.

 

 

<출처 : 산야초 건강학(장 준근 著)2003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