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인의 한국 생활

중한수교20주년 기획-《한국속 중국, 그 불편한 진실》(3)

서울=동북아신문]  [1.현황] 상호 불신 심는 요인중의 하나

지난 6월 서울에서 있은 《제4회 중한매체고위급대화》 참가자들이 기념사진을 남겼다.

특별취재팀이 《중국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조사하는중에 중국에 대한 부분적 한국언론의 편파보도가 가장 많이 제기된 문제의 하나로 나왔다. 이 점에 대해 많은 중한 전문가와 언론인도 공감했다. 언론이 편견을 낳고 또 편견에 부채질하는 양상이 량국민간의 상호 불신을 낳는 요인중의 하나로 화제가 되고있는 와중에 량국 언론간의 교류행사들이 진행되고있었다.

자국민에 대한 중한 언론들의 여론조사는 약속이나 한듯 이 점을 잘 보여주고있다.

2007년 중국 《국제선구도보》가 모 사이트와 공동으로 진행한 《이웃나라 인상조사》에 1만 2000명 중국네티즌이 참가, 대부분 고등교육을 받은 응답자들은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나라》 질문에 한국을 40.1%로 꼽아 제일 많았다. 그 원인을 물으니 《한국에서 겪은 불쾌한 경력》이 제일 많았고 두번째 많은 원인이 부분적 한국매체의 편파보도였다. 즉《혐한》의 중요한 장본인이 한국언론이라는것.

그런가 하면 한국 《중앙일보》가 그 이듬해 《재중 한국인 103명에게 물어보다》는 설문기획기사에서 중국에서 확산되는 《혐한》을 해소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는 질문에 무려 55.3%를 차지하는 재중한국인 응답자가 량국 언론의 상호 리해와 교류 촉구(민간 교류 ,확대는 47.6 %, 인터넷 등 외곡보도 신속대응 33%)를 제기했다. 이에 《중앙일보》는 《불정확한 언론보도가 량국민의 감정을 자극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것》이라며 《혐한》의 원인은 첫째는 제대로 잘 모르고 오해에서 비롯된것, 둘째는 매체의 객관적이지 못하고 공정하지 못한 보도, 주로는 한국매체에 있다고 분석했다.

얼마전 심양에서 개최된《동북아번영포럼》에 참가한 한국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이지용교수는 본사기자에게 《최근의 여론조사 결과 량국민간 상호 불신도가 상승하는것으로 나타나고있다》면서 《이러한 결과는 상당부분 오해와 잘못된 정보에서 비롯되고있다.》 인터넷뿐만아니라 특히 《신문과 같은 공인된 저널에서조차 잘못된 정보를 바탕으로 오해를 가증시키고있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12월 19일자 중국 《세계뉴스보》(世界新闻报)는 《한국인의 염화정서가 두 나라 사이를 버성기게 한다》는 보도에서 《많은 한국사람들은 중국을 조롱거리로 삼는것으로 민족자부심을 느끼는데 한국언론은 이런 민중심리에 부채질하며 중국의 흠집을 들춰내는데 열중하고있다》는 한 재한 중국류학생의 체험을 인용하면서 대 중국 편파보도에 열 올리는 일부 한국언론의 자세를 꼬집었다.

[2.원인] 한국매체의 대 중국 태도변화와 민중의 대 중국 심태변화 같았다

중한 량국 매체간 교류와 협력이 날로 증가되고있다. 사진은 지난 9월 중국CCTV 경제채널 서울개국식 한 장면.

중국 중앙민족대학 한국문화연구소 소장 황유복교수는 한국언론의 대 중국 관련 보도가 부정보도가 많거나 오보가 많은것을 두고 기자에게 《한국언론들이 대 중국 보도에서 서방매체에 너무 의뢰하는데서 생긴것》이라고 지적한다. 그는 《오보가 나가는 경우를 보면 한국기자들이 서방언론의 뒤골목 뉴스를 그대로 쉽게 인용하고 본지 특파원들의 취재확인도 없이 서방언론의 기사들을 려과없이 옮겨오는데서 생긴다》며 《흔히는 이런 보도들이 한국사회에 중국에 대한 큰 편견을 심어주는 원인제공자가 되고있다》고 주장한다.

전 한국 MBC동북대표 전성남씨는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실패를 다룬 한국언론들의 보도를 두고 《현지에서 충분히 료해한후 사실의 전후관계를 제대로 객관적으로 보도해야 하는데 근본원인이 되는 한국인사업가들의 마인드 실패에 초점을 두는것이 아니라 중국의 흠집을 잡아내는데 집중하다나니 오보가 나간다》고 분석한다.

중국사회과학원 아태연구소 왕소령(王小玲)박사는 《중한 관계에 대한 한국매체의 영향을 쩨마로, 한국의 한 유력지를 모델로 1992년부터 2007년까지 16년동안의 대 중국 보도를 사례분석해보았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