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인의 한국 생활

中언론 “왜 한국에서 사고만 나면 중국인 피해자가 생기는가?”

“왜 한국에서 사고만 나면 중국인 피해자가 생기는가?”

 

 

인민일보(人民日報) 자매지 환구시보(環球時報)는 31일 “지난 15일 서울 노량진 수몰사고로 중국인 3명이 숨진 데 이어 방화대교 공사현장 사고로 또다시 중국인 2명이 사망하고 1명이 중상을 입은 사고가 발생했다”며 이 같은 질문을 던졌다.

 

환구시보는 곧이어 “이유는 간단하다”면서 “한국인들이 기피하는 소위 3D 업종에서 일하고 있는 대다수는 중국 조선족 출신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환구시보는 “이들이 한국에서 ‘중국 동포’로 불리고 있지만 심심찮게 홀대를 받고 있다”고 상기시키면서 “이들은 방문취업비자를 받아 일하고 있으며 인명사고가 발생하면 해당 기업이 모든 배상책임을 지게 돼 있지만 그 기준이 턱없이 낮다”고 지적했다. 즉 배상기준이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중국 내 표준을 적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환구시보는 또 “중국 정부는 명확한 사고원인 규명과 함께 사후 처리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한국 정부에 요청했다”고 주한 중국대사관 허잉(何穎) 총영사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허 총영사는 “한국 쪽으로부터 사고 발생 통보를 받고 즉각 영사 관계자를 사고 현장으로 파견했다”고 말했다.

 

관영 신화통신과 인민망, 중국신문망 등 언론 매체와 주요 포털사이트들도 방화대교 사고 소식을 일제히 전하면서 깊은 관심을 보였다.

/국민일보 쿠키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