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컴퓨터관련

이동통신사 이동할 때 스마트폰 안 바꿔도 된다

정부가 가입한 이동통신사에 관계없이 똑같이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스마트폰 제작을 추진중이다. 휴대폰 보조금을 규제하는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과 함께 범용 스마트폰으로 가계 통신비를 줄인다는 구상이다.

28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내년부터 표준 규격에 맞춰 제작한 범용 스마트폰 보급을 추진할 계획이다. 범용 스마트폰은 이동통신사마다 다른 LTE 주파수를 모두 수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SK텔레콤용, KT용, LG유플러스용등 특정 이동통신사에 맞춘 전용 스마트폰과 달리 3사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이동통신사를 변경할 경우 범용이용자식별모드(USIM) 칩만 바꿔 끼우면 된다. 대신 휴대폰 제조사에서 이동통신사마다 다른 LTE 주파수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범용 통신칩을 스마트폰에 탑재해야 한다. 미래부 관계자는 "표준 규격에 맞춰 이동통신 3사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LTE 스마트폰을 만드는 것"이라며 "다만 법에 명기된 것이 아니어서 제조사에 강제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범용 스마트폰은 LTE를 이용한 음성통화(VoLTE)도 지원한다. 현재는 이동통신사에 따라 음성통화는 3세대, 데이터통신은 LTE를 지원하는데 내년에 나오는 범용 스마트폰은 무조건 VoLTE까지 지원해 이동통신사를 옮겨도 VoLTE를 이용할 수 있다.

정부는 범용 LTE 스마트폰이 내년 7월 이후에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 이용자들의 통신비 부담도 그만큼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이동통신사를 옮겨도 기존에 사용하던 스마트폰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금 남용도 줄어들 전망. 여기에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이 국회에서 통과되면 이용자는 보조금을 받지 않는 대신 요금할인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스마트폰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요금을 더 싸게 이용할 수 있어 통신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게 미래부의 구상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제조사들과 오랜 시간 협의해서 범용 스마트폰 도입을 추진하는 것"이라며 "단말기 유통구조개선법이 통과되고 범용 스마트폰이 확산되면 단말기가격으로 인한 통신비 부담이 낮아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연진기자 wolfpack@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