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온난화가 심각한 국제이슈로 떠오르면서, 환경 오염을 막고 에너지 절약을 하는 그린 에너지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런 세계 환경 이슈와 산업 이슈 모두를 포괄하는 사업에 우리나라 역시 가만히 있을 수 없겠지요?
LED(Light Emitting Diode) 란?
LED는 전압이 흐르면 이를 빛으로 전환하는 화합물 반도체를 말합니다. LED는 기존 백열전구에 비하여 90% 이상 효율이 좋아, 백열전구 하나를 사용하는 전기량으로, LED 전구 10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밝기를 유지하면서도 전기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그린 에너지 유망 산업으로 주목을 받고 있고, 점점 그 활용 분야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미래 한국을 먹여 살릴 주력 산업 9가지 부품소재산업 중의 하나로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을 꼽았는데요. 현재 세계조명시장에서 LED 조명이 차지하는 비율은 3.1%에 불과하지만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의 수석연구원 역시 지난 '2009 LED 산업응용 OVERVIEW' 세미나에서
이에 우리 정부는 2015년 '세계 톱3 LED 조명 강국'을 새 비전으로 설정하여 2015년까지 전체 조명에서 LED가 차지하는 비중을 30%까지 늘리는 내용의 'LED 조명 15/30 보급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LED 조명 활용 예시
전북 임실과 전북 학전마을에 설치된 태양광 LED 가로등입니다. 이 가로등은 고효율 LED에 태양광 에너지 기술을 결합하여 낮 동안 모아놓은 태양 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는 저탄소 녹색성장 친환경에너지 시설입니다. 기존의 LED 조명 기술이 한 단계 발전하여 응용된 예입니다.
태양광 에너지 기술과 LED 기술을 접목한 또 하나의 사례가 있습니다. 서울 강남구는 국내 최초로 강남대로변 2개 건물에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태양광 LED간판’ 14개를 시범 설치했답니다.
간판 조명과 비슷한 원리로 박람회 등의 행사에서 쓰이는 부스 역시 LED 조명으로 대체한 사례도 있답니다.
<광주 김대중 컨벤션 센터>
'빛의 도시'를 지향하는 광주 광역시에서도 역시 공공기관의 조명을 LED 조명으로 교체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김대중 컨벤션 센터 조명, 2009 광주 엑스포 행사장 및 연결도로, 에너지관리공단 호남 지역 에너지 기후변화 센터 건물 내외부의 전체 조명을 LED로 교체 설치하여 그린빌딩으로 조성하겠다고 합니다.
LED 신호등은 빛의 퍼짐 현상과 눈부심이 없어 차량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할 뿐 아니라 기존 전구 대비 약 85% 이상의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어 에너지 절약을 통한 경제적 비용절감 효과 또한 우수하다고 합니다.이에 서울, 전주를 비롯한 많은 도시에서 LED 신호등으로 교체하고 있습니다.
<등명기 이미지출처 : http://www.buynp.or.kr/>
선박의 안전항해를 돕기 위한 항로 표시시설인 등명기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백열전구를 사용할 경우, 짧은 수명과 잦은 고장으로 여분의 보조기기를 설치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에 큰 어려움이 있었는데요. LED 등명기로 80% 이상의 에너지를 절약하고, 유지 보수문제도 개선되었습니다.
다양한 부분에서 LED 조명이 활용되고 있지요?
영국에서는 양계장을 위한 LED 조명 기술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닭에게 해로운 적외선이 일반 형광등에 비해 적고, 열 방출도 50% 이상 줄어들며, 일반 형광등보다 흔들림이 적어 황혼에서 새벽까지 쾌적한 환경을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조명을 사용한 양계장의 닭들은 먹이를 쉽게 찾아내고, 폐사율이 0.5% 하락하고, 성격이 온순해 지는 등 큰 효과를 거두었다고 하네요.
표준기의 국산화로 더욱 가능성 있는 LED 시장
최근 국내 연구진이 태양광과 LED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표준기를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고 합니다. 현재 이 기술을 사용해 조도 표준전구를 공급하는 나라는 미국(NIST), 독일(PTB), 영국(NPL) 세 나라로,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네 번째 표준기 공급국가가 되었습니다.
그린 에너지 사업의 대표주자 LED 조명의 미래도 밝겠지요? |
'나의 이야기 > 지구환경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극 얼음 물밑에서도 녹고 있다..하루 6cm씩 사라져 (0) | 2013.09.30 |
---|---|
무한도전 등산 100일 259일차 (0) | 2013.09.16 |
바다의 날, 바다가 열리다 (0) | 2013.05.31 |
김용호 기자의 환경 이야기 <26> 에코델타시티, 진짜 생태도시 되려면 (0) | 2013.05.23 |
근대 문화유산 보존과 지역 공동체 문화 복원 (0) | 2013.05.16 |